개인 노트, 패스워드를 github로 관리하기 - 2022/05/07, Saturday, UTC
obsidian과 keepass 암호화해서 github와 동기화하기
obsidian과 keepass 암호화해서 github와 동기화하기
obsidian
obsidian은 무료 pc, android, ios를 지원하는 노트앱이다. 많은 노트앱들을 써왔는데 지금 까지의 다른 앱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markdown과 순수 text 파일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markdown은 본 사이트 엔진에서 post 작성할때도 사용한다. 유용한 community plugin들이 많다.
flowchart LR markdown["markdown 2004"] --> commonMark["commonMark 2014"] --> githubMark["GitHub Flavored Markdown"] commonMark --> goldMark["goldmark - hugo에서 사용"]
(mermaid 붙인 김에 그려봄)
예)
- folder -- diary -- 2022 -- 2022-05-07.md
| |- 2022-05-08.md
-- work -- todo.md
|- buylog.md
구독 모델로 동기화를 지원 하긴하는데 아무래도 회사가 망해버릴 걱정부터 앞선다.
keepass
keepass는 오픈소스 패스워드 매니저다.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여러 가지 옵션들이 있지만 역시 로컬에 db 형태로 저장하고 오픈 소스란 점에서 얘를 사용하고 있다.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플랫폼과 브라우저를 지원 한다. 단점은 역시 데이터 동기화 문제가 있다.
그러면 같이 암호화해서 github로 보내버리자
- folder -- diary -- 2022 -- 2022-05-07.md
| |- 2022-05-08.md
-- work -- todo.md
| |- buylog.md
|
|- files - db.kdbx (keepass db)
위와 같이 폴더와 파일로 관리가 가능하므로 통채로 github private repository에 넣어서 관리하면 된다. 그런데 private이라해도 그냥 txt 파일을 보내는 것이 별로다. 좋은 솔루션은 gitcrypt다. rsa key를 생성해서 한번 git repository에 설정해 놓으면 자동으로 push 할 때 encrypt 하고 pull 할 때 decrypt 한다. gitcrypt의 단점은 windows나 android, ios port가 없으므로 pc에서는 linux나 wsl(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sl/install)를 사용해야 하고 ios는 이를 대체할 app은 없고 android 폰에서는 termux(https://termux.com/)를 깔아서 해결한다. 처음 설정하기에 비 개발자는 많이 어렵다.
노트 작성뿐 아니라 영감을 주는 image그리고 영상등도 50mb이하라면 같이 folder에 넣고 사용하면 사랑스러운 github에서 모두 동기화해준다.
자 이렇게 개인 노트 관리, 시간 관리(obsidan plugin) 그리고 패스워드 관리를 github에 암호화해서 동기화하고 있다. 무척 추천한다. 삶의 질이 올라간다.